memoization❓

함수의 결과를 캐싱하여 동일한 입력에 대해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이전의 계산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중복된 계산을 제외하고 실행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기법이다.

 

캐싱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React.memo

컴포넌트를 캐싱해서 부모 컴포넌트 리렌더링 시 캐싱된 컴포넌트는 리렌더링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API이다.

이때 props를 받는 컴포넌트는 자식 컴포넌트이다.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면 자식 컴포넌트는 props 상태가 변하지 않더라도 리렌더링된다.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막기 위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React.memo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 코드를 예시로 보자면 memo 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input창에 값을 입력할 때마다 console.log("List component re-rendered"); 이 실행된다. 이는 부모컴포넌트에서 일어난 상태 변화에 자식 컴포넌트는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리렌더링된다는 뜻이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List = (({ items }) => {
  console.log("List component re-rendered");
  return (
    <ul>
      {items.map((item, index) => (
        <li key={index}>{item}</li>
      ))}
    </ul>
  );
});

const App = () => {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const [items, setItems] = useState([]);

  const handleAdd = () => {
    setItems([...items, text]);
    setText("");
  };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text}
	      onChange={e => setText(e.target.value)}
	      placeholder="Add item"
	    />
      <button onClick={handleAdd}>Add</button>
      <List items={items} />
    </div>
  );
};

export default App;

 

처음 렌더링된 후 콘솔이 한번 찍히고 입력창에 값을 입력할 때마다 리렌더링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React.memo를 사용해보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memo의 인자로 List라는 함수 컴포넌트를 넣었을 때 이전에 저장한 값을 불러와 리렌더링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

import { useState, memo } from "react";

const List = memo(({ items }) => {
  console.log("List component re-rendered");
  return (
    <ul>
      {items.map((item, index) => (
        <li key={index}>{item}</li>
      ))}
    </ul>
  );
});

 

처음 렌더링될 때만 실행되고 입력창에 값을 넣어도 리렌더링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seMemo

계산 결과 값을 캐싱해서 리렌더링 시 재사용할 수 있는 훅이다. 

useMemo는 자주 쓰이는 캐싱해준다. 그리고 그 값이 필요할때 다시 계산을 하는 것이 아닌 useMemo를 통해 캐싱을 한 값을 메모리에서 꺼내와서 재사용한다.

 

 

기본문법

아래 코드와 같이 useMemo는 인자로 함수와 의존 값(dependencies)를 받는다.

const cachedValue = useMemo(calculateValue, dependencies)

 

 

매개변수

calculateValue 캐시하려는 값을 계산하는 함수. 인자를 받지 않고, 반드시 어떤 타입이든 값을 반환해야한다. 의존성이 이전 렌더링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면 동일한 값을 반환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calculateValue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며, 나중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dependencies React는 마지막 렌더링 이후에 의존 인자 중 하나의 값이라도 변경되면 calculateValue를 호출하여 값을 재계산한 리턴값을 반환한다. 의존 인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한 값을 다시 반환한다.

 

 

 

아래 예시를 보면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value의 값이 초기화 된다. 렌더링이 될 때마다 불필요하게 재호출된다는 뜻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seMemo를 사용해보자.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calculate();
    return <div>{value}</div> 
}

function calculate() {
    return 10;
}

 

 

useMemo를 사용한 코드이다. useMemo도 useEffect처럼 첫번째 인자에 콜백함수, 두번째 인자엔 의존 인자를 가지고 있다. 의존 인자의 값이 변경될 때 콜백함수를 실행하여 값을 업데이트해준다. 만약 빈 배열을 넣는다면 useEffect와 마찬가지로 마운트 될 때에만 값을 계산하고 그 이후론 계속 캐싱된 값을 꺼내와 사용한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useMemo(() => {
    	return calculate();
    },[item])
    
    return <div>{value}</div> 
}

 

 

 

 

useCallback

함수 정의를 캐싱 해서 리렌더링 시 재사용할 수 있는 훅이다.

 

기본문법

const cachedFn = useCallback(fn, dependencies)

 

 

매개변수

fn 캐싱할 함숫값. 이 함수는 어떤 인자나 반환값도 가질 수 있다
dependencies fn 내에서 참조되는 모든 반응형 값의 목록. 반응형 값은 props와 state, 그리고 컴포넌트 안에서 직접 선언된 모든 변수와 함수를 포함

 

 

 

아래 코드는 컴포넌트가 렌더링할 때마다 handleIncrement 함수를 재생성한다. 렌더링될 때마다 같은 동작을 하지만, 함수의 참조가 변경되므로 React는 매 렌더링 시마다 새로운 함수로 인식하게된다. 이때 useCallback 훅을 사용해서 함수가 재생성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import React, { useCallback, useState } from 'react';

const MyComponent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handleIncrement = () => {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

  return (
    <div>
      <p>Count: {count}</p>
      <button onClick={handleIncrement}>Increment</button>
    </div>
  );
};

 

 

첫번째 인자에는 콜백함수를 넣고, 두번째 인자인 의존성 배열에는 count를 넣어 해당 값이 변경될 때마다 실행하도록 한다. 이렇게하면 렌더링될 때마다 함수가 재생성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으며, count 값이 변경되기 전 까진 이전에 캐싱한 함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

import React, { useCallback, useState } from 'react';

const MyComponent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handleIncrement = useCallback(() => {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 [count]);

  return (
    <div>
      <p>Count: {count}</p>
      <button onClick={handleIncrement}>Increment</button>
    </div>
  );
};

 

 

Redux❓

리덕스는 자바스크립트 앱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이다. 

 

 

Redux를 사용하는 이유❓

리덕스를 사용하면 상태값을, 컴포넌트에 종속시키지 않고, 상태 관리를 컴포넌트의 바깥에서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 useState의 불편함

- 컴포넌트에서 컴포넌트로 State를 보내기위해서는 반드시 부-모 관계여야한다.

- State를 전달해주기만 하는 List 컴포넌트에도 불필요하게 State 값을 내려주어야한다.

-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로 값을 보낼 수 없다.

- 자식이 많아진다면 상태 관리가 매우 복잡해진다

- 상태를 관리하는 상위 컴포넌트에서 계속 내려 받아야한다. (Props drilling 이슈)

 

✨ 리덕스를 통해 해결가능한 점

1. 전역 상태 저장소 제공

2. Props drilling 이슈 해결

 

 

 

 

 

 

 

✏️ 내가 이해한대로 그리는 리덕스 구조

간단한 로직이다. view에서 상태 변화가 생겼다면 dispatch 메서드에 액션 객체(데이터)를 담아 reducer를 호출해준다. dispatch에 전달인자로 담긴 action을 reducer에서는 매개변수로 받아 실행한다. 그리고 액션의 타입에 따라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고 store에 변경된 최신 상태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useSelector 를 통해 store에서 초기/최신 상태를 받아 UI 를 렌더링한다.

 

📌 Action : { type, payload }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객체이다. type은 필수 속성이고 payload는 선택 속성이다. 추가적인 데이터를 받을 때 사용한다. 
📌 Dispatch 액션 객체를 전달인자로 받아 리듀서를 호출하는 함수이다. 리듀서 함수는 dispatch를 통해 액션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다.
📌 Reducer 기존 상태와 액션 객체를 매개변수로 가지며 이 두가지를 참조하여 상태를 변경한다. 액션 객체에서 action.type에 따라 상태를 어떻게 변경할지 정의하는 함수이다. 상태 변경 후 최신 상태를 Store에게 제공한다.

 

 

 

1. 스토어 생성 및 스토어 구독

 

B 컴포넌트에서 일어난 상태 변화가 G 컴포넌트에 반영된다고 가정해보자.

스토어를 생성한 후에 G 컴포넌트에서 useSelector 로 store을 구독하고 state의 최신상태를 받는다.

useSelector((state) => state.구독대상)

 

 

 

 

 

2. 상태 변경 요청

 

B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업데이트할 일이 생긴다. 이 때 dispatch라는 함수에 액션을 담아 store에 상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dispatch 함수에 담은 액션을 전달인자라고 하는데 이는 리듀서를 호출할 때 필요한 매개변수로 사용한다.

 

 

 

 

 

3. 리듀서로 상태 업데이트

B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action 객체의 타입에 따라 상태를 업테이트 해줘야한다. 이때 액션의 타입에 따라 어떻게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는지 정의하는 함수를 리듀서 함수라고 한다. 아래 두가지 매개변수를 참조하여, 새로운 상태 객체를 만들어서 최신 상태를 반환한다.

 

📌 reducer 함수는 두가지 매개변수를 갖는다.

- state : 현재 상태

- action : 액션 객체

 

 

 

 

4. 구독 알림

위 과정을 다 거치면 컴포넌트는 새로운 상태를 받게되고, 이에 따라 컴포넌트는 리렌더링한다.

 

 

 

 

 

 

 

Redux 설치

yarn add redux react-redux

 

 

파일 생성

 

📂 redux : 리덕스와 관련된 코드를 모두 모아 놓을 폴더 

     📂 config : 리덕스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을 놓을 폴더

        📂 cofigStore.js : 중앙 state 관리소

     📂 module : State들의 그룹 폴더

        📂 text.js :하나의 모듈

 

 

Store 생성

combineReducers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reducer의 반환 값을 하나의 상태 객체로 만든다.

import { combineReducers, createStore } from "@reduxjs/toolkit";
import texts from "../module/text";

// 1. combineReducers로 리듀서 조합
const rootReducer = combineReducers({ texts });

 

 

조합한 리듀서로 스토어를 생성한다.

import { combineReducers, createStore } from "@reduxjs/toolkit";
import texts from "../module/text";

// 1. combineReducers로 리듀서 조합
const rootReducer = combineReducers({ texts });

// 2. 조합한 리듀서들로 스토어 생성
const store = createStore(rootReducer);

export default store;

 

 

 

 

리듀서 생성

texts라는 리듀서에 onAddText라는 액션 타입을 만들어준다. 이때 texts(리듀서)는 state와 action 두개의 매개변수를 갖는다. 두개의 매개변수를 참조하여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아래 코드를 보면 초기값은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가 있다면 불러온 데이터가 초기값이 되고 없다면 빈 배열이 초기값이 된다. 

 

액션 타입 onAddText인 경우 처리는 다음과 같다. 기존 상태(...state)를 복사하여 변경하고, text 속성에 새로운 배열을 할당한다. 기존 text 배열과 새로운 항목(action.payload)을 합쳐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한다.

// 초기값 설정
const initialState = {
  text: localStorage.getItem("texts") || [],
};
console.log(initialState);

const texts = (state = initial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onAddText":
      return {
        ...state,
        text: [...state.text, action.payload],
      };
    default:
      return state;
  }
};

export default texts;

 

 

 

 

리스트를 추가할 때 input창에 입력하는 값이 출력되어야한다. 리듀서 함수에서 만든 액션 타입을 dispatch 메서드를 사용해서 스토어에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useDispatch } from "react-redux";

function TextInput() {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inputValue, setInputValue] = useState("");

  const handleSubmit = (e) => {
    e.preventDefault();
    if (inputValue.trim()) {
      dispatch({ type: "onAddText", payload: inputValue });
      setInputValue("");
    }
  };

  return (
   <form onSubmit={handleSubmit}>
      <input
        type="text"
        value={inputValue}
        onChange={handleChange}
        placeholder="Enter text"
      />
      <button type="submit">Add</button>
    </form>
  );
}

export default TextInput;

 

 

useContext 

useContext는 컴포넌트에서 context를 읽고 구독할 수 있게 해주는 React Hook입니다.

 

 

기본구문

const value = useContext(SomeContext)

 

매개변수

SomeContext : 이전에 createContext로 생성한 context입니다. context 자체는 정보를 보유하지 않으며, 컴포넌트에서 제공하거나 읽을 수 있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낼 뿐입니다.

 

반환값

호출한 컴포넌트에서 트리상 위에 있는 가장 가까운 SomeContext.Provider에 전달된 value입니다. 이러한 provider가 없는 경우 반환되는 값은 해당 context에 대해 createContext에 전달한 defaultValue가 됩니다. 반환된 값은 항상 최신 값입니다. React는 context가 변경되면 context를 읽는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리렌더링합니다.

 

 


 

 

 

React Context의 필요성

일반적으로 부모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해줄때 props로 전달해준다. 하지만 큰 단점이 있는데 컴포넌트가 깊어질수록 해당 컴포넌트가 어느 컴포넌트에서 왔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을 props-drilling이라고 한다.

 

prop drilling의 문제점

  1. 깊이가 너무 깊어지면 이 prop이 어떤 컴포넌트로부터 왔는지 파악이 어려워진다.
  2. 어떤 컴포넌트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추적이 힘들다.

 

 

Props 사용이 적절할 때❓

리스트 컴포넌트에서 아이템 컴포넌트로 상태를 전달하는 경우. 이 경우는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많이 생소했다. props drilling으로 만든 코드를 context 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리스트 컴포넌트에는 도저히 context를 사용할 수 없을 것 같아서였다. map을 돌린 애들로 아이템을 만드는데 여기서 context를 어떻게 사용할까 했는데 오늘 강의 때 단순한 데이터 전달은 Props 사용이 적절한 때라고 알려주셔서 이해할 수 있었다.

export default function TodoList({ isDone }) {
  const { todos, setTodos } = useContext(TodoContext);
  const filteredTodos = todos.filter((todo) => todo.isDone === isDone);
  return (
    <div>
      <h2>{isDone ? "Done" : "Working..."}</h2>
      {filteredTodos.map((todo) => (
        <TodoItem key={todo.id} todo={todo} setTodos={setTodos} />
      ))}
    </div>
  );
}
export default function TodoListWrapper() {
    return (
        <>
            <TodoList isDone={false} />
            <TodoList isDone={true} />
        </>
    );
}

 

 

Context API

아래 그림처럼 useContext hook을 통해 우리는 쉽게 전역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Context Provider 의 모든 children 컴포넌트들에게 context value를 공유할 수 있고, 전역상태관리를 하게 되면 props 를 이용한 상태 공유를 하지 않아도 된다.

 

  • createContext : context를 생성
  • useContext : context를 구독하고 해당 context의 현재 값을 읽기
  • Provider : context를 하위 컴포넌트에게 전달

 

 

 

 

createContext

Context Provider 의 모든 children 컴포넌트들에게 context value를 공유할 수 있다. 

const TodoContext = createContext(null);

 

 

Provider

 context를 하위 컴포넌트에게 전달한다.

function App () {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
	
	return (
		<TodoContext.Provider value={{todos, setTodos}}>
			<TodoForm />
			<TodoListWrapper />
		</TodoContext.Provider>	
	);
}

 

예시

// src/context/TodoContextProvider.jsx
import React, { createContext, useState } from 'react';

// 함수 컴포넌트 외부에서 Context 생성
export const TodoContext = createContext(null);

const TodoContextProvider = ({ children }) => {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

  const addTodo = (text) => {
    setTodos([...todos, { id: Date.now(), text, isDone: false }]);
  };

  return (
    <TodoContext.Provider value={{ todos, addTodo }}>
      {children}
    </TodoContext.Provider>
  );
};

export default TodosContextProvider;

 

useContext

context를 구독하고 해당 context의 현재 값을 읽어올 수 있다. useContext() 괄호 안은 리턴 + 구독을 뜻한다. 아래 코드는 todoContext를 구독하겠다는 말과 같다.

function TodoForm() {
	const { setTodos } = useContext(TodoContext);
	return (
		...
	)
}

 

 

 

실습을 하던 중에 디테일 페이지에 데이터를 받아야하는데 부모 컴포넌트와 종속성이 없어 데이터를 받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있었다. 라우터 간 데이터 전달은 context api로 할 수 있는데 props-drilling으로 작업하고 있어서 어찌해야할 방법을 몰랐다. 그런데 설마 했던 방법이 맞았다..! 라우터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전달하는 것..! 너무나도 생소해서 여긴 아니겠지 하는 생각으로 갈피를 잡지 못했었다. 

// 여러 페이지 컴포넌트에 동일한 상태 공유가 필요할 때
function Router() {
	return (
	<BrowserRouter>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detail/id" element={<Detail />} />
	    </Routes>
	</BrowserRouter>		
	)
}

 

Route.jsx에다 상태를 만들어주고 props로 내려주면 되는것.. 방법을 못찾아서 useLocation으로 데이터를 받아왔었는데 props-drilling의 불편함을 어느정도 알 수 있게해준 오류였다.

function Router() {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
	return (
	<BrowserRouter>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detail/id" element={<Detail todos={todos}/>} />
	    </Routes>
	</BrowserRouter>		
	)
}

 

 

 

 

결과물

 

 

 

 

 

 

Detail.jsx

디테일 페이지에서 값을 수정하려고 한다. 내가 생각했을 땐 입력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는 각 setState가 필요할 것 같았는데, useRef로 수정 기능을 많이 구현한다고 했다. 

 

useRef()를 사용해서 초기값을 먼저 설정해준다. 텍스트 수정은 input 태그에 defaultValue에 담아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const dateRef = useRef(exe.date);
const itemRef = useRef(exe.item);
const descRef = useRef(exe.desc);
const amountRef = useRef(exe.amount);
<label>날짜</label>
<StInput ref={dateRef} defaultValue={exe.date} />
<label>항목</label>
<StInput ref={itemRef} defaultValue={exe.item} />
<label>내용</label>
<StInput ref={descRef} defaultValue={exe.desc} />
<label>금액</label>
<StInput ref={amountRef} defaultValue={exe.amount} />

 

 

 

 

 

 

수정할 데이터 접근

변수명.current.value로 수정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따로 수정한 데이터를 담은 객체를 생성해주었다. 

const modifiedData = {
    id: exe.id,
    date: dateRef.current.value,
    item: itemRef.current.value,
    amount: +amountRef.current.value,
    desc: descRef.current.value,
};

 

해당 월 지출내역이 있는 배열에 순회를 돌려서 해당 월 지출 내역의 id 값이 내가 수정하려는 지출 내역과 같다면 수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했다. 여기서 계속 오류가 났었는데 이유는 아래와 같다.

 

콘솔에서 찍어보면 수정은 잘되는데 기존에 있던 데이터가 삭제되고 내가 수정한 객체가 새로운 배열로 반환되어 수정하려는 데이터와 수정한 데이터 두개만 찍히는 것이다. 

 

 

오류가 나타난 이유는 바로 map 함수를 사용하면서 해당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ex로 설정해놓고 exe로 써놓았던 것.. 아직 map 함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 이렇게 바꾸고 다시 수정을 시도했더니 아주 잘 됐다.. .. 

const modifyExes = data[exe.month].map((ex) =>
      ex.id === id ? modifiedData : ex
);

 

 

 

👾 오류

여기서 잘되나 싶었는데 수정하고 나서 홈화면으로 나갔다가 수정했던 데이터를 다시 수정하려고 하니까 아래 오류가 나왔다. 수정 함수를 건드렸는데 onRemove() 함수에 있는 filter가 안되는 것이다. data[exe.month]를 확인해보니 undefined가 떴다.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filter')

 

콘솔에 수정된 데이터 변수인 modifyExes를 찍어보니 month 값이 안찍히고 있었던 것. 그래서 data[exe.month] 찍었을 때 데이터를 불러오지 못하고 undefined가 떴구나. 

 

 

✨ 해결

수정 코드에 스프레드 연산자를 사용했다. 기존 객체에는 month가 있고, 새로 만든 수정 객체에는 month가 없기 때문에 스프레드 연산자로 합쳐주었다.

더보기

✏️ 스프레드 연산자

기존 배열이나 객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배열이나 객체로 빠르게 복사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생성되어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배열이나 객체를 새로운 변수에 할당 하게되면 새로운 변수는 기존의 변수에 할당되어 있는 객체 또는 배열을 참조하게 됩니다. 객체에서는 spread 연산자를 이용하여 객체의 프로퍼티를 업데이트 하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좌변엔 원본 데이터를 복사하고, 우변엔 덮어 씌울 데이터를 복사한다. 여기서 중복되는 키값은 우변으로 덮어씌워지고 새로운 프로퍼티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되게 된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이해가 쉽다.

const person1 = { name: "john", age:"18" }
const person2 = { name: "Alice", age:"20", citiy:"seoul" }

const sum = {...person1, ...person2}
//결과 : { name: "Alice", age:"20", citiy:"seoul" }

 

그렇게 바꿔준 코드이다. 콘솔에 찍어보니 month도 잘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nst modifyExes = data[exe.month].map((ex) =>
      ex.id === id ? { ...ex, ...modifiedData } : ex
);

 

 

수정한 데이터를 다시 저장해주고,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주면 완성! 수정기능을 하면서 아직 map, filter 배열과 객체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았다. 잘안다고 생각했는데 코드에 활용할 때 이론이 백지가 되버린다. 제대로 더 공부해봐야겠다.

data[exe.month] = modifyExes;
localStorage.setItem("expenseList", JSON.stringify(data));

 

 

 

결과물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월을 눌렀을 때 해당하는 월의 지출 내역을 보여주도록 구현해보려고 한다. 로컬스토리지에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하는 것까지가 목표다.

 

 

 

 

데이터 추가

우선 expenseList 변수명으로 데이터가 있다면 저장된 데이터들을 객체 형태로 바꿔서 불러오고, 없다면 빈 객체를 가져온다. 객체로 불러오는 이유는 월별마다 다른 지출내역이 보여야하기 때문에 월을 key 값으로 value를 해당 월의 지출 내역 리스트로 하기 위함이다.

const initalLocalData = 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

 

새로운 객체를 입력받는 값으로 month:selectedMonth 를 넣어주어 추가할 때마다 해당하는 월이 어딘지 확인해준다. 그리고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기존 객체를 풀어 addExes 새로운 객체에 넣어준다. 

const onInsert = (date, item, amount, desc) => {
    const newExes = {
      id: uuidv4(),
      date,
      item,
      amount,
      desc,
      month: selectedMonth, 
    };

    //객체로 가져오기
    //key - 월, value - 지출내역
    const addExes = {
      ...exes,
    };
  };

 

해당하는 월에 지출내역이 없다면? 빈배열을 보여줘 그리고 해당하는 월에 새로운 데이터를 배열에 push 해줘! selectedMonth를 배열에 담은 이유는 월마다 다른 지출내역을 배열에 넣어주기 위함이다. push가 가능한 이유도 배열이기 때문!

if (!addExes[selectedMonth]) {
      addExes[selectedMonth] = [];
    }
    
    addExes[selectedMonth].push(newExes);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태를 업데이트해주고, 로컬스토리지에 string 타입으로 저장해준다. 불러올때는 꼭 객체 타입으로 변환해서 가져오자!

setExes(addExes);
localStorage.setItem("expenseList", JSON.stringify(addExes));

 

해당 월 지출 내역을 담은 변수를 선언해주고 이 변수를 지출 리스트 컴포넌트에 props로 내려준다. 그럼 지출 리스트 컴포넌트에서 해당 데이터를 갖고 map을 돌려 화면에 데이터를 보여준다.

const filteredList = exes[selectedMonth];

 

 

 

 

ExesList.jsx

 

지출 내역 리스트를 화면에 뿌려주는 컴포넌트이다. 필러팅된 props를 map으로 돌려준다. 근데 여기서 👾오류 발생.. 오류 메세지는 아래와 같다.. 정의되지 않은 속성은 읽을 수 없다고 한다.. 저기서 대체 왜?.. 데이터들도 배열로 잘 뜨고 있는데 왜 뜰까..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map')
{filteredList.map((exe) => {
      return <ExesItem key={exe.id} exe={exe} setExes={setExes} />;
})}

 

👾 오류 이유

렌더링이 화면에 커밋 된 후에 모든 효과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즉 return에서 map을 반복 실행할 때 첫 턴에 데이터가 아직 다 안들어와도 렌더링이 실행되며, 당연히 그 데이터는 undefined로 정의되어 오류가 나는 것이다. 그렇게 한참을 구글링하다가 나랑 같은 오류를 해결한 글을 보았다. 

 

 

✨ 해결 방법

논리곱연산자 &&를 사용하자! 자바스크립트에서 true && expression은 항상 expression으로 실행되고  false && expression은 항상 false로 실행된다. 따라서 조건이 참이면 && 바로 뒤의 요소가 출력에 나타난다. 거짓이면 무시하고 건너뛴다.

{filteredList && filteredList.map((exe) => {
	return <ExesItem key={exe.id} exe={exe} setExes={setExes} />;
})}

 

 

 

여기까지해주면 월별로 들어가는 지출 내역이 잘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삭제

삭제는 디테일 페이지에서 진행해보자. 각 지출 리스트를 눌렀을 때 해당하는 리스트의 id 값으로 상세페이지로 들어간다. useParams()를 사용해서 파라미터를 가지고온다.

 const { id } = useParams();

 

 

useNavigate()로 페이지를 이동하면서 기존 객체 상태를 props로 가지고 오고, 디테일 페이지에선 useLocation()으로 사용해줬다. 여태 컴포넌트로 만들어서 부모 -> 자식으로 props를 넘겨주는 방식으로만 했는데 라우터를 배우면서 상세페이지를 만들고, 페이지 간에 props를 전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 알았다. 

const navigate = useNavigate();
  const onDetailButtonHandler = (id) => {
    navigate(`/detail/${id}`, { state: { exe } });
  };

 

Detail.jsx

const location = useLocation(); 
const item = location.state.exe;

 

 

 

받은 props를 사용해 삭제 기능을 구현해보자. 내 페이지는 부모-자식 컴포넌트가 아니라 종속성이 없기때문에 로컬스토리지 데이터를 삭제해주도록 했다. data라는 변수에 저장된 로컬스토리지 데이터들을 담아주고 console.log를 찍어주면 데이터는 잘 불러온다.

let data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삭제 함수를 만들어 데이터를 삭제해보자. id 값을 받아와 기존 객체 배열에서 id가 일치하지 않는 값들을 모두 removeData 변수에 담아준다. id 값이 같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값 = removeData 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할당된 값을 다시 data[item.month]에 다시 담아준다. 이건 삭제된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재할당(갱신)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삭제된 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값을 다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야하기 때문이다.

const onRemove = (id) => {
    const removeData = data[item.month].filter((exe) => exe.id !== id);
    data[item.month] = removeData;
  };

 

여기서 filter를 돌릴 때 data[item.month]로 돌리는 이유는 위 로컬스토리지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담은 변수 data는 객체로 불러오기 때문이다. filter 메서드는 배열에만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data[item.month]로 해당하는 월의 데이터로 filter를 돌리면 된다.

아래는 콘솔로 찍어본 data와 data[item.month]이다. 객체와 배열 형태로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게 재할당해준 데이터를 다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주면 삭제하기 완성..! 여기서 navigate(-1) 은 뒤로가기이다. 상세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고침을 하거나 홈으로 나가야 삭제가 됐는지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삭제와 동시에 홈으로 이동하게끔 했다. 

localStorage.setItem("expenseList", JSON.stringify(data));
navigate(-1);

 

뒤로가기 버튼도 마찬가지! -1을 해준다 원래는 navigate('/')로 했었는데 이건 덮어씌우는거랑 같다고 해서 대부분 -1을 사용한다고한다.

const onBackButtonHandler = () => {
    navigate(-1); 
  };

 

 

 

 

 

삭제 기능까지 완성! 혼자 하는데 처음에 월별로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월을 key값으로 객체로 저장을 하려니 잘쓰고 있던 map, filter 메서드들에 오류가 나서 다 백지상태였다. 배열 메서드들인데 내가 객체로 저장해버리니 오류가 나는 수밖에 튜터님한테 많이 물어보고 콘솔에 객체와 배열이 어떻게 다른지 물어보면서 만들어보았다. 아직 복습을 많이 해야할 것 같다.  

 

 

 

저장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나는 useState()를 사용하고 있어서 defendency arry에 useState 변수를 넣어주어 상태가 변할 때마다 실행하도록 했다. 객체나 배열을 저장해줄 때에는 JSON.stringify를 이용해서 객체를 string으로 변환시켜준 후에 저장해주어야 한다. 

useEffect(() => {
    localStorage.setItem("expenseList", JSON.stringify(exes));
  }, [exes]);

 

 

 

조회

로컬스토리지에서 불러오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저장할 때 사용한 변수명으로 불러올 수 있다.  JSON.stringify로 객체를 string으로 변환해준 것을 다시 객체로 변환해주기 위해 JSON.parse를 이용한다.

const initalLocalData = 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

 

 

 

삭제

삭제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localStorage.removeItem('변수명')

 

 


 

 

 

🔥 실제 데이터로 활용해보기

가계부 프로젝트 중 로컬스토리지를 사용해서 웹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한다. 우선 로컬스토리지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가져오고, 없다면 빈 배열을 가져오도록 해준다. 그리고 useEffect를 사용해 defendency array에 상태가 변할 때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해주자.

const initalLocalData = 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 [];
// exes가 변경될 때마다 로컬 스토리지에 업데이트.
  useEffect(() => {
    localStorage.setItem("expenseList", JSON.stringify(exes));
  }, [exes]);

 

아래 이미지처럼 input 창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위에 데이터가 등록이 된다. 입력할 때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되어야하기 때문에 추가해주는 컴포넌트에 가서 코드를 추가해주자.

 

 

 

 

지출 내역을 추가하는 컴포넌트로 와서 코드를 추가해줬다. 객체나 배열을 저장해줄시에는 JSON.stringify를 이용해서 string으로 변환시켜준 후에 저장한다. JSON.stringify없이 저장해둔 데이터는 [Object Object]와 같이 저장된다.

 

아래와 같이 추가가 되었다! 데이터도 저장된 걸 확인할 수 있다.

 

 

 

 

리액트 숙련주차에 들어갔다. 입문 주차에서는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느낌에 집중도 잘되었는데 숙련 주차에 들어오니 끊임없는 정보때문에 머리가 헤롱하다. 과부하가 온 것 같다. 지금 배우고 있는 단계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이럴때일수록 더 집중하고 이해해보려고 노력해야겠다.🔥

 


 

 

 

Styled-components

css-in-js 란?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css 코드를 작성하여 컴포넌트를 꾸미는 방식이다. css를 사용할 때 조건문과 변수 등 다양한 로직을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패키지 설치

yarn add styled-components

 

사용방법

태그의 속성명에 접근하여 스타일 주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styled.button`
  // <button> HTML 엘리먼트에 대한 스타일 정의
`;

 

컴포넌트에 접근하여 스타일 주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Button from "./Button";

styled(Button)`
  // <Button> React 컴포넌트에 스타일 정의
`;

 

태그 속성에 원하는 스타일을 주고 StyledButton 변수에 저장한다. 해당 변수를 Button 컴포넌트에 사용하면 다른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같은 스타일이 적용된 <Button>을 사용할 수 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const StyledButton = styled.button`
  padding: 6px 12px;
  border-radius: 8px;
  font-size: 1rem;
  line-height: 1.5;
  border: 1px solid lightgray;
  color: gray;
  background: white;
`;

function Button({ children }) {
  return <StyledButton>{children}</StyledButton>;
}
import Button from "./Button";
<Button>Default Button</Button>;

 

 

 

 

 

 

 

useState()

 

기본 문법

컴포넌트의 state를 관리할 수 있는 기본적은 hook 이다. state를 변수로 사용하고, setState를 이용해서 state 값을 수정할 수 있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함수형 업데이트

카운트로 예시를 들어보자. 기존에 우리가 카운트 값을 증가시켰던 방법은 원시적 데이터로 값을 올려주었다. ( ) 안에 수정할 값이 아니라 함수를 넣어보자.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useStatePage()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onPlusHandler = () =>{
  	setCount(count + 1);
  }

  return (
    <div>
      <span> 카운트 {count}시 </span>
      <button onClick={()=>onPlusHandler}>+</button>
    </div>
  );
}

 

( ) 안에 현재 number의 값을 가져와서 그 값에 +1을 더하여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었다. 일반적인 업데이트 방식와 함수 업데이트 방식은 어떤 점이 다른지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setCount((currentNumber)=>{ return currentNumber + 1 });

 

 

일반 업데이트 방식은 버튼을 클릭했을 때 첫번째 줄 ~ 세번째 줄의 있는 setCount가 각각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배치(batch)로 처리한다. 즉 우리가 onClick을 했을 때 setCount 라는 명령을 세번 내리지만, 리액트는 그 명령을 하나로 모아 최종적으로 한번만 실행을 시킨다는 뜻이다. 그래서 setCount을 3번 명령하던, 100번 명령하던 1번만 실행한다.

<button onClick={() => {
  	setCount(count + 1); // 첫번째 줄 
  	setCount(count + 1); // 두번쨰 줄
  	setCount(count + 1); // 세번째 줄
}}
>

 

반면에 함수형 업데이트 방식은 3번을 동시에 명령을 내리면, 그 명령을 모아 순차적으로 각각 1번씩 실행시킨다. 현재값 0에 1더하고, 그 다음 1에 1을 더하고, 2에 1을 더해서 3이라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utton onClick={() => {
          setCount((previousState) => previousState + 1);
          setCount((previousState) => previousState + 1);
          setCount((previousState) => previousState + 1);
        }}
>

 

 

 

예시

자식 컴포넌트에 버튼을 눌렀을 때 부모 컴포넌트에 카운트가 증가하도록 하는 코드를 구현해보자.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div>
			<h1>여기는 부모컴포넌트입니다.</h1>
			<span>현재 카운트 : {count}</span>
			<Child setCount={setCount}/> 
		</div>
	)
}

export default App;

 

Child 컴포넌트에 setCount만 props로 넘겨주면 된다. 함수형으로 값을 업데이트해줄 것이기때문에 count 까지 넘겨주어 setCount(count + 1) 을 해주는 것은 불필요한 props 전달이기때문이다. 

<Child setCount={setCount}/>
const Child = (props) => {
	const handleAddCound = () => {
		setCount((prev) => prev + 1);
	}

	return <button oncClick={handleAddCound}>Count 1 증가</button>
}

export default Child;

 

 

 

 

 

useEffect()

 

기본 문법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 된 이후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이다. 컴포넌트가 마운트 / 언마운트 / 업데이트 됐을 때 특정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useEffect(setup, dependencies?)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이후에 실행된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다. 아래와 같은 코드는 input 태그를 만들어 state와 연결해준 상태이다. input창에 값을 입력했을 때 state가 변경하므로 리렌더링이 되면서 console.log 값이 계속해서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useEffect(() => {
    console.log("hello useEffect");
  });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value}
        onChange={(event) => {
          setValue(event.target.value);
		      console.log("value => ", value);
        }}
      />
    </div>
  );
}

export default App;

 

1. 인풋 값 입력 > 2. state 변경 > 3. 리렌더링 > 4. 렌더링이 되었으니 useEffect 다시 실행 > 반복 과 같은 흐름이다.

 

 

 

의존성 배열(defendency array)

 

Hook이 불필요하게 반복해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useEffect의 두번째 인자가 의존성 배열이 들어가는 곳
useEffect(()=>{
	// 실행하고 싶은 함수
}, [의존성배열]) //[] 이 배열에 값을 넣으면 그 값이 바뀔 때만 useEffect를 실행할게

✔️ Hook의 재실행 조건 설정

- 의존성 배열에 포함된 값들이 변경될 때만 훅이 재실행되도록 조건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 최신 상태 유지

- 의존성 배열을 사용하면 Hook이 항상 최신 상태의 값을 참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연산을 방지할 수 있다.

 

✔️ 의존성 관리의 명확성

- 의존성 배열을 사용하면 훅이 어떤 값에 의존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의도하지 않은 의존성 관계를 방지할 수 있다.


 

 

의존성 배열이 비어있는 경우는, 렌더링된 이후 딱 한번만 실행하겠다는 뜻이다. 렌더링 이후 한번만 실행하고 싶다면 빈 배열을 넣어주면 된다. 

// src/App.js

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useEffect(() => {
    console.log("hello useEffect");
  }, []); // 비어있는 의존성 배열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value}
        onChange={(event) => {
          setValue(event.target.value);
        }}
      />
    </div>
  );
}

export default App;

 

 

반대로 의존성 배열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이 배열의 값이 변경될 때만 실행하겠다는 뜻이다. 인풋의 값이 바뀔 때마다 실행한다.

// src/App.js

import Reac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useEffect(() => {
    console.log("hello useEffect");
  }, [value]); // value를 넣음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value}
        onChange={(event) => {
          setValue(event.target.value);
        }}
      />
    </div>
  );
}

export default App;

 

 

 

클린 업(Clean up)

컴포넌트가 언마운트 즉, 사라졌을 때 실행하는 함수이다. 

useEffect(()=>{
	// 화면에 컴포넌트가 나타났을(mount)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를 넣어주세요.

	return ()=>{
	// 화면에서 컴포넌트가 사라졌을(unmount) 때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를 넣어주세요.
	}
}, [])

 

 

 

 

 

 

 

useRef()

 

기본 문법

리렌더링과 상관없이 값을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특징을 이용해 자바스크립트 DOM API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DOM 요소를 다루기 위한 용도로도 자주 사용된다. 

const 변수명 = useRef(초기값)

 

 

 

useRef()에 초기값을 주고 실행해보면 current : '초기값' 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current라는 키값을 지닌 프로퍼티가 생성되고, 값에 어떤 변경을 줄때도 이 current를 이용해서 한다는 점이다.

import "./App.css";
import { useRef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ref = useRef("초기값");
  console.log("ref 1", ref);

  return <div></div>;
}

export default App;

 

아래 코드와 같이 ref.current 의 값을 바꾼 값으로 변경하고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다.

import "./App.css";
import { useRef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ref = useRef("초기값");
  console.log("ref 1", ref);

  ref.current = "바꾼 값";
  console.log("ref 1", ref);

  return <div></div>;
}

export default App;

 

이렇게 설정된 ref 값은 컴포넌트가 계속해서 렌더링 되어도 언마운트 전까지 값을 유지하며 currnet 속성은 값을 변경해도 상태를 변경할 때 처럼 리액트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저장공간

state와 같이 어떤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대신 state는 리렌더링이 필요한 값을 다룰때 사용하고, ref는 변하지 않는 값을 다룰 때 사용하자. 변화는 감지하지만 그 변화가 렌더링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사용하기!

Hook rendering change
useState() Y 내부 변수 초기화
useRef() N 값 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