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로 첫 팀프로젝트가 시작됐다. 뭔가 프로젝트다운 프로젝트를 하는 것 같다.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블로그 같이 게시글을 쓰고 읽고 수정하고 삭제할 수 있는 뉴스피드 웹사이트를 구현하는 프로젝트이다. 그리고 처음으로 서버를 사용해서 작업한다!! supabase를 사용하는데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에 백엔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델이다.
와이어프레임
전직 웹 퍼블리셔 + 디자인을 했었던 터라 디자인은 모두 내가 맡아서 진행했다. 어떤 뉴스피드를 할까 의견이 많이 나왔는데 1. 크림같은 중고거래 웹사이트, 2. 코디한 옷 공유하는 사이트, 3. 아이스크림 후기 공유하는 사이트 세가지가 나왔다. 우리 팀명이 구구콘이라 3번으로 탕탕탕ㅋㅋㅋㅋ 아이스크림 후기를 공유? 뭔가 생소할 수 있지만 정해진 주제이니 완전 열심히 해보았다. 디자인은 아이스크림 공유하는 사이트 답게 뭔가 파스텔 톤의 귀여운 디자인으로 뽑아봤다.
차례대로 헤더 -> 배너 -> 게시물 -> 푸터 순이고 우리 팀의 핵심 기능은 카테고리 별 필터링 하는 기능이다. 카테고리는 브랜드별, 맛별, 종류별로 나뉘어진다. 인기 게시물과 최근 게시물 모두 카테고리 별로 확인이 가능하다.
사전 기획
우리는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추천하는 게시물을 작성하고 다른 사람들의 후기를 통해 아이스크림 정보를 탐색하고 나의 아이스크림 취향을 모으는 마이페이지를 주제로 정하고 구현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시작 전 와이어프레임 제작과 함께 사전 기획을 했다. 어떤 페이지에 어떤 컴포넌트와 기능이 필요한지. 데이터 형식은 어떤식으로 넣는게 좋을지 의논하여 정하였다.
역할 분담
내가 맡은 역할은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 정보를 가지고 와서 데이터를 뿌려주고 회원정보를 수정한다. 수정하는 데이터는 닉네임과 프로필 이미지이다. 더해서 전체적인 웹페이지의 반응형을 구현하기로 했다.
추가하는 리듀서함수를 만들어보자. 리듀서 함수는 두가지 매개변수를 갖는다. state(기존 객체) 와 action(업데이트할 객체) . 이 두가지 매개변수를 가지고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최신 상태를 store에 제공해준다.
내 코드는 우선 월별 지출내역이 없다면 빈배열로 반환하도록 되어있고, 새로운 지출내역을 월별 지출내역에 push 해준다. 그리고 로컬스토리지에 저장. 여기서 내가 받아야할 action.apyload는 선택한 월과 새로운 지출내역이다. 프롭스 드릴링이나 context 를 사용했다면 추가 후에 setState를 사용해 상태를 업데이트해줘야하는데 리듀서 함수 자체가 setState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할 필요가 없다.
useSelector 로 구독할 대상을 설정한다. 구독해야할 대상은 지출내역 데이터가 담긴 expense slice와 어떤 월을 선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month slice 두개이다. 그리고 useDispatch로 리듀서 함수를 호출해준다. 대신 액션객체를 담아서! 액션 타입에 따라 상태를 어떻게 업데이트해주는지 리듀서 함수에서 정의해주기 때문이다.
위 파일에서 삭제, 수정 리듀서 함수를 생성해준다. 삭제는 id 를 액션 페이로드로 받고, 수정은 수정된 데이터를 액션 페이로드로 받아줬다. 초기값이 객체형태였기 때문에 filter(),map() 메서드를 사용하지 못해서 for-in 문으로 객체 month를 키값으로 순회해서 배열로 가지고 왔다. 각 월 지출 내역 데이터를 expensesOfMonth 변수에 할당해주고 filter를 사용해 삭제할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들을 반환하도록 해주고 반환된 데이터를 기존 월별 데이터에 재할당해주었다. 그리고 로컬스토리지에 저장.
useSelector로 월 지출내역을 가지고와서 상세페이지에 노출시키려고 보니 오류가 발생했다. 확인해보니 내가 가지고온 데이터는 전체 월 지출내역. 상세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해당 월의 지출내역. 완전히 다른 데이터를 가지고 온 것이다. 그래서 가지고온 데이터를 내가 선택한 월과 같은 데이터만 가지고 오도록 find 메서드를 사용해주었다.
리액트 첫번째 팀프로젝트가 시작됐다. supabase를 사용해서 뉴스피드를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supabase는 처음 사용해보는데 오늘 강의 들은 내용으로 정리해보고자한다.
Supabase❓
Supabase는 Firebase의 대안으로 나온 오픈 소스이다. Firebase와 달리 Supabase는 Postgre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준다. 아래 주요 특징에 따라 가장 큰 난관인 CRUD 기능과 유저 기능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Database: 확장성이 뛰어난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다
Authentication: 손쉽게 소셜 로그인을 활성화할 수 있다.
Edge Functions: 서버를 배포하거나 확장하지 않고도 사용자 지정 코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다.
Listen, subscribe → “계속 지켜본다”라는 뜻이다. useEffect에 넣어야 하는 이유는 컴포넌트 렌더링 시 한 번만 등록하면 되기 때문이다. 넣지 않으면 리렌더링마다 계속 CCTV 추가가 된다.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 계속 추가되면 성능 안좋아질 수 있다
여기서 살짝 헤맸는데 해당 지출 내역을 가져와서 map메서드로 각 지출 내역을 하나씩 만들어준다. 그래서 ExesItem.jsx에도 useContext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가져와야하나? 했는데 사용하기 어려워보였다. 튜터님께 여쭤보니 해당 과제가 context를 사용해보려고 하는것이지 아예 props-drilling을 사용하지 말라는건 아니라고 하셨고, 데이터를 바로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props로 하위 컴포넌트에게 넘겨주어도된다고 했다.
import React, { useContext } from "react";
import ExesItem from "./ExesItem";
import { Context } from "../context/Context";
const ExesList = () => {
const { filteredList } = useContext(Context);
return (
<div>
<ul>
{/*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map')
커밋 된 후에야 모든 효과를 실행
React는 return에서 map을 반복실행할 때 첫 턴에 데이터가 아직 안들어와도 렌더링이 실행되며
당연히 그 데이터는 undefined로 정의되어 오류
&& 사용
true && expression은 항상 expression으로 실행
*/}
{filteredList &&
filteredList.map((exe) => {
return <ExesItem key={exe.id} exe={exe} />;
})}
</ul>
</div>
);
};
export default ExesList;
삭제할 지출 내역을 제외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고, 그 배열을 포함한 새로운 객체를 만든다. 불변성 유지를 위해 전체 월 지출내역 복사, removeExes 안에는 전체 지출 내역 중 삭제된 지출내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출내역이 들어가 있다. 로컬스토리지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setExes(지출 내역 업데이트)로 상태 업데이트를 해준다.
세번째 개인 프로젝트이다. 리액트로는 두번째 개인 프로젝트! 간단한 개인 지출 관리 사이트를 만들어보자!!🐢
이번 과제는 props-drilling > context > redux 순으로 상태 관리를 변경해가며 구현해야한다. 과제를 진행하면서 props-drilling의 단점과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의 장점을 이해하도록 하려는 취지 같았다. 결론적으론 전역 상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props-drilling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만큼은 제대로 알았다.
와이어 프레임
참고로 준 프로젝트 완성본은 맨 위에 입력 폼이 있는데 디자인은 달리 들어가도된다고 해서 따로 디자인하고 작업했다. 아래와 같이 컴포넌트 분리를 했고 react-router-dom으로 페이지 분리를 먼저 해주려고 한다.
컴포넌트
컴포넌트
설명
ExesForm.jsx
지출내역을 입력하는 컴포넌트이다. 메인 페이지 우측 하단 버튼을 누르면 모달처럼 뜨도록 구현했다.
MonthList.jsx
월별 버튼 컴포넌트이다. 해당 월을 누를 때마다 다른 스타일링이 들어간다.
ExesList.jsx
월별 버튼을 눌렀을 때 하단에 해당 월의 지출내역이 나타나는 지출 내역 리스트 컴포넌트이다.
ExesItem.jsx
각 지출 내역의 컴포넌트이다.
라우터 설정
yarn add react-router-dom
📂 shared > 📂 Router.jsx
react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이며 따라서 하나의 프로젝트에 하나의 html만 존재한다. 업데이트 되는 새로운 페이지만 path와 element로 연결하여 컴포넌트를 불러오는 방식이다. 고유한 id 값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했다. BrowserRouter로 Router을 감싸는 이유는 브라우저가 깜빡거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BrowserRouter, Route, Routes }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Detail from "../pages/Detail";
import Layout from "./Layout";
const Router = () => {
return (
<div>
<BrowserRouter>
<Routes>
<Route path="/" element={<Layout />}>
<Route index element={<Home />} />
<Route path="/detail/:id" element={<Detail />} />
</Route>
</Routes>
</BrowserRouter>
</div>
);
};
export default Router;
📂 pages > 📂 Home.jsx
아래처럼 컴포넌트를 배치했다. 프로젝트 필수 사항에 styled-components를 사용하라고해서 모든 컴포넌트에 사용했는데 css 파일로 따로 가지 않고 js파일에서 수정할 수 있고, 조건부 스타일링이 가능한 점은 편리하고 좋지만, 컴포넌트가 많아보이고 헷갈린다.. 장점이 큰 만큼 단점도 만만치않게 큰 것 같다.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업데이트하는 로직으로 구현했다.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되어있는 전체 지출 내역을 data 변수에 할당해준다.
let data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expenseList"));
삭제 버튼 클릭 시 즉시 삭제하기 보다는 사용자에게 확인받은 뒤 삭제처리하도록 했다. data[exe.month]는 해당하는 월의 지출내역을 담고있다. 배열이기때문에 filter 메서드를 사용해 삭제하려는 데이터는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들을 removeData 변수에 할당해주었다.
그리고 여기서 해당하는 월의 지출내역에 다시 재할당 해준다. 아무리 구글링해도 setState는 props로 가져올수가 없어서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는 대신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주는 로직으로 구현한 것이다..
처음 짠 코드는 아래와 같다. 이렇게 했더니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다. 기존에 있는 데이터는 month 값이 있지만 수정한 객체는 month 값이 들어가 있지 않아서 생긴 오류였다. 그래서 위와 같이 스프레드 연산자를 사용해 불변성을 유지하고 기존 데이터에 있는 month의 값도 들어갈 수 있었다.
const modifyExes = data[exe.month].map((ex) =>
ex.id === id ? modifiedData : ex
);
함수의 결과를 캐싱하여 동일한 입력에 대해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이전의 계산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중복된 계산을 제외하고 실행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기법이다.
캐싱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React.memo
컴포넌트를 캐싱해서 부모 컴포넌트 리렌더링 시 캐싱된 컴포넌트는 리렌더링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API이다.
이때 props를 받는 컴포넌트는 자식 컴포넌트이다.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면 자식 컴포넌트는 props 상태가 변하지 않더라도 리렌더링된다.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막기 위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React.memo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 코드를 예시로 보자면 memo 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input창에 값을 입력할 때마다 console.log("List component re-rendered"); 이 실행된다. 이는 부모컴포넌트에서 일어난 상태 변화에 자식 컴포넌트는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리렌더링된다는 뜻이다.
캐시하려는 값을 계산하는 함수. 인자를 받지 않고, 반드시 어떤 타입이든 값을 반환해야한다. 의존성이 이전 렌더링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면 동일한 값을 반환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calculateValue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며, 나중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dependencies
React는 마지막 렌더링 이후에 의존 인자 중 하나의 값이라도 변경되면 calculateValue를 호출하여 값을 재계산한 리턴값을 반환한다. 의존 인자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한 값을 다시 반환한다.
아래 예시를 보면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value의 값이 초기화 된다. 렌더링이 될 때마다 불필요하게 재호출된다는 뜻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seMemo를 사용해보자.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calculate();
return <div>{value}</div>
}
function calculate() {
return 10;
}
useMemo를 사용한 코드이다. useMemo도 useEffect처럼 첫번째 인자에 콜백함수, 두번째 인자엔 의존 인자를 가지고 있다. 의존 인자의 값이 변경될 때 콜백함수를 실행하여 값을 업데이트해준다. 만약 빈 배열을 넣는다면useEffect와 마찬가지로 마운트 될 때에만 값을 계산하고 그 이후론 계속 캐싱된 값을 꺼내와 사용한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value = useMemo(() => {
return calculate();
},[item])
return <div>{value}</div>
}
useCallback
함수 정의를 캐싱 해서 리렌더링 시 재사용할 수 있는 훅이다.
기본문법
const cachedFn = useCallback(fn, dependencies)
매개변수
fn
캐싱할 함숫값. 이 함수는 어떤 인자나 반환값도 가질 수 있다
dependencies
fn 내에서 참조되는 모든 반응형 값의 목록. 반응형 값은 props와 state, 그리고 컴포넌트 안에서 직접 선언된 모든 변수와 함수를 포함
아래 코드는 컴포넌트가 렌더링할 때마다 handleIncrement 함수를 재생성한다. 렌더링될 때마다 같은 동작을 하지만, 함수의 참조가 변경되므로 React는 매 렌더링 시마다 새로운 함수로 인식하게된다. 이때 useCallback 훅을 사용해서 함수가 재생성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리덕스를 사용하면 상태값을, 컴포넌트에 종속시키지 않고, 상태 관리를 컴포넌트의 바깥에서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 useState의 불편함
- 컴포넌트에서 컴포넌트로 State를 보내기위해서는 반드시 부-모 관계여야한다.
- State를 전달해주기만 하는 List 컴포넌트에도 불필요하게 State 값을 내려주어야한다.
- 자식 컴포넌트에서 부모 컴포넌트로 값을 보낼 수 없다.
- 자식이 많아진다면 상태 관리가 매우 복잡해진다
- 상태를 관리하는 상위 컴포넌트에서 계속 내려 받아야한다. (Props drilling 이슈)
✨ 리덕스를 통해 해결가능한 점
1. 전역 상태 저장소 제공
2. Props drilling 이슈 해결
✏️ 내가 이해한대로 그리는 리덕스 구조
간단한 로직이다. view에서 상태 변화가 생겼다면 dispatch 메서드에 액션 객체(데이터)를 담아 reducer를 호출해준다. dispatch에 전달인자로 담긴 action을 reducer에서는 매개변수로 받아 실행한다. 그리고 액션의 타입에 따라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고 store에 변경된 최신 상태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useSelector 를 통해 store에서 초기/최신 상태를 받아 UI 를 렌더링한다.
📌 Action : { type, payload }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객체이다. type은 필수 속성이고 payload는 선택 속성이다. 추가적인 데이터를 받을 때 사용한다.
📌Dispatch
액션 객체를 전달인자로 받아 리듀서를 호출하는 함수이다. 리듀서 함수는 dispatch를 통해 액션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는다.
📌Reducer
기존 상태와 액션 객체를 매개변수로 가지며 이 두가지를 참조하여 상태를 변경한다. 액션 객체에서 action.type에 따라 상태를 어떻게 변경할지 정의하는 함수이다. 상태 변경 후 최신 상태를 Store에게 제공한다.
1. 스토어 생성 및 스토어 구독
B 컴포넌트에서 일어난 상태 변화가 G 컴포넌트에 반영된다고 가정해보자.
스토어를 생성한 후에 G 컴포넌트에서 useSelector 로 store을 구독하고 state의 최신상태를 받는다.
useSelector((state) => state.구독대상)
2. 상태 변경 요청
B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업데이트할 일이 생긴다. 이 때 dispatch라는 함수에 액션을 담아 store에 상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dispatch 함수에 담은 액션을 전달인자라고 하는데 이는 리듀서를 호출할 때 필요한 매개변수로 사용한다.
3. 리듀서로 상태 업데이트
B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action 객체의 타입에 따라 상태를 업테이트 해줘야한다. 이때 액션의 타입에 따라 어떻게 상태를 업데이트 해주는지 정의하는 함수를 리듀서 함수라고 한다. 아래 두가지 매개변수를 참조하여, 새로운 상태 객체를 만들어서 최신 상태를 반환한다.
📌 reducer 함수는 두가지 매개변수를 갖는다.
- state : 현재 상태
- action : 액션 객체
4. 구독 알림
위 과정을 다 거치면 컴포넌트는 새로운 상태를 받게되고, 이에 따라 컴포넌트는 리렌더링한다.
Redux 설치
yarn add redux react-redux
파일 생성
📂 redux : 리덕스와 관련된 코드를 모두 모아 놓을 폴더
📂 config : 리덕스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을 놓을 폴더
📂 cofigStore.js : 중앙 state 관리소
📂 module : State들의 그룹 폴더
📂 text.js :하나의 모듈
Store 생성
combineReducers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reducer의 반환 값을 하나의 상태 객체로 만든다.
import { combineReducers, createStore } from "@reduxjs/toolkit";
import texts from "../module/text";
// 1. combineReducers로 리듀서 조합
const rootReducer = combineReducers({ texts });
// 2. 조합한 리듀서들로 스토어 생성
const store = createStore(rootReducer);
export default store;
리듀서 생성
texts라는 리듀서에 onAddText라는 액션 타입을 만들어준다. 이때 texts(리듀서)는 state와 action 두개의 매개변수를 갖는다. 두개의 매개변수를 참조하여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아래 코드를 보면 초기값은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가 있다면 불러온 데이터가 초기값이 되고 없다면 빈 배열이 초기값이 된다.
액션 타입 onAddText인 경우 처리는 다음과 같다. 기존 상태(...state)를 복사하여 변경하고, text 속성에 새로운 배열을 할당한다. 기존 text 배열과 새로운 항목(action.payload)을 합쳐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한다.